홈페이지 >

한국 의류 브랜드 전방위 중국 진출

2012/10/19 19:20:00 27

의류브랜드한국모직

 

한국

복장

기업의 핵심 전략은 명품 이미지를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한국 기업은 진군 초기부터 중국 주요 도시 고급 백화점과 쇼핑센터에 입주하는 것은 브랜드의 가치를 높일 뿐만 아니라 매출을 늘릴 수 있다.


2009년 중국 진출 중인 SK Networks 여장 브랜드 ‘오구 ’(O ’2nd)의 모든 제품은 국내에서 제작을 마치고 중국으로 수출하고 고급 소비자들을 상대로 중점마케팅을 펼치며 중국 내 가격은 한국보다 70%~80% 이상 높았지만 매출이 빠른 상승을 방해하지 않았으며, 오구는 지난해 중국 지역 매출액이 500억 원에 이른 것으로 알려졌다.

이 회사는 올해 말까지 중국 가게를 52개로 70여 개로 늘릴 계획이다.


SK Networks 외에도 첫 모직, LG 패션, 게이션 등 고급 백화점 위주로 매장 강탈 중국 시장을 개설해 중국 시장을 변화시켰다.


제일모 직물의 주력 브랜드 ‘빈티지 ’가 중국에 출시될 때 남장, 여장, 액세서리 등을 포함한 ‘용식 매장 ’을 선보였다.

또 중국에서 디자인센터를 개설해 중국인들이 좋아하는 빨간색, 주름이 없는 바지를 내놓는 등 중국 시장에 쓰이는 제품을 선보였다.

‘ 빈빈파 ’ 는 중국 시장의 가격과 한국 시장의 일치를 유지하고 있는 것은 이미 한국에서 구축된 ‘ 고급 캐주얼 ’ 의 이미지를 그대로 중국으로 옮기기 위해서다.


빈파는 올해 중국에서 30여 개 매장을 늘려 연말까지 매장 수를 145개로 늘릴 계획이다.

제일모직 목표는 앞으로 5년간 빈파를 중국 매출액에서 총 매출액에서 30% 이상으로 높였다는 것이다.

첫 모직은 올 가을에 중국 소비자만을 겨냥한 브랜드'ALCEE'를 선보였다. 목표 소비군은 35 ~45세 중년 여성으로 꼽혔다.


지난해까지 캐주얼 ·아동 브랜드에 집중되지만 올해부터 이태리 브랜드를 인수하는 방식은 중국에서 속속 다른 분야에 진출하고 있으며 스포츠 의상 브랜드'벨플피', 가방 브랜드'마다라나더크 '등이다.

이랜드 관계자는 "2020년까지 중국 의류 시장에서 10만 원대의 매출을 창출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중국 시장에서 이랜드는 매출액이 1조 6000억 원에 이른다.


LG 패션은 프랑스 라비엽본부와 함께'라비엽 중국'을 창설해 중국 야외용품 시장을 공략했다.

지난해 봄, 여름 첫 제품 출시 이후 1년 6개월 동안 매장을 100여 개로 늘렸다.

LG 패션 관계자는 "중국 야외 용품 시장이 매년 35% 증가해 2015년까지 중국 시장 매출액이 2000억 원에 달한다"고 말했다.

  • 관련 읽기

대외 무역 수출 난방 방직 의류 수출 은 여전히 도전 에 직면하고 있다

재경 요문
|
2012/10/19 18:48:00
19

북복 원장 유원풍: 의류 문화 가 국제 경쟁력 을 일으켰다

재경 요문
|
2012/10/19 18:06:00
12

위기와 병존 — 패션 브랜드 제니아 시련에 직면하다

재경 요문
|
2012/10/19 17:48:00
18

우리나라 신발 브랜드 해외 시장 의 흥망 기록

재경 요문
|
2012/10/19 11:52:00
13

왕강 진은 방직 업계에서 방직 도시에서 방직 강진으로 가속화되었다

재경 요문
|
2012/10/19 11:33:00
23
다음 문장을 읽다

巴基斯坦纺织界要求政府救援纺织工业

巴基斯坦纺织行业面临严峻危机,强烈要求其政府采一系列措施取解救纺织品工业和出口问题。